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취득세2

2023년 취득세 변경 시가인정액 산정 기준 요약 (+ 증여 시 취득세 과세 표준) 취득세 과세 표준 기준이 시가 표준액에서 시가 인정액으로 변경되었는데요. 시가 인정액은 기존의 시간표준액과는 달리 위택스 간단 조회가 불가능하고 산정 기준에 따라 따져보아야 합니다.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취득세 과세 표준 유상·원시취득 : 사실상의 취득가격 (실거래가) 무상취득 원칙 : 시가인정액 무상취득 중 증여 : 시가인정액 부담부증여 유상취득액 : 시가인정액 무상취득 중 상속 : 시가표준액 시가표준액 1억 원 이하’인 부동산 :납세자가 과세표준 선택 가능 시가표준액 or 시가인정액 시가인정액 산정이 어려운 경우: 시가표준 시가표준액 vs 시가인정액 ▶시가표준액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시된 가액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에서 조회 가능, 공시되지 않은 경우 지자체장이 산.. 2023. 3. 15.
부동산 규제 속 갈아타기 전략(지방) 부린이의 부동산 공부글 입니다. 지금과 같은 다중 규제 속에서는 똘똘한 한채 전략도 좋은 전략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저희는 직주근접(직장인 가까운 주거 환경)을 반영하여 와이프와 저 모두 직장에서 15분 거리에 된 메이저 아파트에 살고 있습니다. 이동의 경제적 측면 고려하였을 때 권역에서 유일한 초품아로 최상의 선택지에 살고 있다 생각하는데요. 다만 내가 살고 있는 권역은.. 비규제 지역으로 부동산으로서는 한마디로 인기가 없는 지역입니다. 예전에는 이 아파트 한 채면 지역을 떠날 일도 없으니 애들 키우기에 적당하다 생각했지만 자녀가 초등 고학년이 되고 이번 상승장을 거치며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지금 사는 곳은 이렇다 할 학군이 없네요. 상급지에 살아야 한다~ 학군이 좋아야 한다~는 알고 있었지.. 2022. 5. 7.

방명록